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 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한 ‘지스타 2024’는 지난 11월 14일(목)부터 11월 17일(일)까지 4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었다.
3,359부스가 차려진 올해는 작년에 이어 역대 최대 규모로 전시회가 개최된 것은 물론, 확대된 규모만큼 다양한 참가사의 신작과 콘텐츠가 공개되며 지스타를 방문한 모두의 기대감을 고조시켰다.
구글코리아는 〈쿠키런: 모험의 탑〉을 비롯해 멀티플레이 경쟁형 파티 게임 〈소닉 럼블〉을 중심으로 부스를 조성, 게임 개발사 못지않은 인기를 자랑했고 넷마블은 세계 최고의 메가 IP 중 하나인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와 〈몬길: 스타 다이브〉 등을 출품하고 인기 인플루언서와 함께 다채로운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올해 단독으로 지스타에 참여한 라이온하트 스튜디오는 출시 예정인 신작 〈발할라 서바이벌〉의 시연대를 마련하였으며, 〈프로젝트 C〉, 〈프로젝트 S〉, 〈프로젝트 Q〉등으로 명명된 신규 프로젝트를 공개하기도 하였다.
100부스 규모로 참여한 웹젠은 수려한 그래픽과 화려한 액션, 다양한 오픈월드 탐험 요소를 바탕으로 국내 최고의 기대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 〈드래곤 소드〉의 시연, 그리고 서브컬처 장르의 신작인 〈테르비스〉의 신규 영상을 공개했다.
크래프톤은 〈인조이〉, 〈딩컴 모바일〉, 〈프로젝트 아크〉 등을 선보이고, 현장을 찾는 팬들을 위한 시연과 다양한 이벤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펄어비스는 BTC 참가자를 대상으로는 국내 최초로 〈붉은 사막〉의 시연 기회를 제공하였는데 이를 체험하려는 참가자로 아침부터 문전성시를 이뤘다.
이 밖에도 50부스 규모로 참여한 그라비티는 〈라그나로크3〉, 〈프로젝트 어비스〉, 〈라그나로크 크러쉬〉 등 다수의 신작을 포함한 17종 라인업을 출품하였고, 역시 50부스 규모로 지난해에 이어 참석한 그리프라인 부스에서는 〈명일방주〉의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는 신규 3D 전략 게임 〈명일방주: 엔드필드〉를 체험하기 위한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방문객 수치는 작년에 이어 올해 역시 전시장 내외부 밀집도에 주안점을 두고 운영함에 따라 일자별 구분이 아닌 4일간 관리된 실내외 인원수 규모를 기준으로 추산하였다. 그 결과 올해 지스타에는 4일간 약 21만 5천명이 방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벡스코 제2전시장 3층에 마련된 BTB관은 11월 14일(목)을 시작으로 11월 16일(토)까지 3일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전년 대비 부스 규모가 확대(23년 896부스, 24년 924부스)되었고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던 네트워크 라운지의 규모 확대 및 전략적 위치 배치 등으로 쾌적한 비즈니스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3일간 비즈니스 상담을 위해 지스타 BTB 전시장에 직접 방문한 유료 바이어는 2,211명으로 집계되었다.
지스타의 킬러 콘텐츠로, 올해 42개 세션(키노트 4개, 일반 38개, 3트랙)으로 진행되었던 G-CON 2024 역시 20주년에 걸맞은 역대 최고 수준의 연사 라인업으로 청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키노트 세션에서는 코에이 테크모의 창업자이자 〈삼국지〉, 〈대항해시대〉 등을 개발하며 세계 최고의 게임 제작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시부사와 코우(에리카와 요이치) 총괄 프로듀서, JRPG의 전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를 총괄한 키타세 요시노리와 〈파이널 판타지 VII 리메이크〉 디렉터인 하마구치 나오키, 〈퍼스트 버서커: 카잔〉으로 많은 게이머의 관심을 받은 네오플 의 윤명진 대표 그리고 현세대 최고의 애니메이터이자 일러스트레이터로 꼽히는 요네야마 마이가 연설자로 참여하였다.
일반 세션에서도 최근 발매 후 전 세계적으로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은 〈아스트로봇〉의 개발사 팀 아소비의 니콜라스 두셋 스튜디오 디렉터, 서브컬처를 주도하며 〈소녀전선〉 시리즈로 유명한 우중 프로듀서, 소울라이크 장르의 대표작 〈블러드본〉을 담당했던 야마기와 마사아키 등이 참가하였으며, 이 밖에도 인디 게임으로는 전 세계적인 인기를 자랑했던 〈다키스트 던전〉과 로블록스, 스팀 등의 전문가가 한데 모여 그들의 노하우를 공유하였다.
17일(일) 이번 인디 쇼케이스 참석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지스타 인디 어워즈에서는, 스네이크이글의 〈킬 더 위치〉, 엔스펙의 〈월드온〉 등 6개 작품이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마지막으로 지스타 TV 온라인 방송 역시 새로운 콘셉트를 도입하며 앞으로의 방향성을 새롭게 설정했다. 특히 올해 지스타에 참여하는 주요 신작을 사전에 소개하는 프리뷰 프로그램‘지스타 레디플레이’를 신설하고 이를 지스타 개막 하루 전에 방송함으로써 지스타 현장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 밖에도 2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콘텐츠로 진행된 ‘도전! 스무살 지스타’퀴즈를 통해 온라인에서도 지스타 20주년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