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징, 라이오셀 필로 충전재 활용 분야에 편안함, 자원 효율성 및 디자인 다양성 지원
솔브레인홀딩스, 중국 DFD와 맞손…전해액 핵심 원재료 내재화 추진
LG화학, 태국 에스테틱사업 확장 나선다
한독크린텍, 신제품 ‘나노복합카본필터’ 국내외 출하 시작
태성산업, 씨티케이바이오와 생분해 화장품 용기 개발 MOU 체결
제이오, 인하대학교와 기술 이전 협약.. 고부가가치 펠리클 기술 완성도 높인다
성안머티리얼스, 성림첨단산업에 희토류 메탈바 공급 개시
바스프, 아태지역에서 ISCC PLUS 인증 친환경 폴리아마이드 생산
삼에스코리아, 반도체 패키징 관련 중국 특허 등록
에어레인, 이오노머 재생 기술 공개
-
씨아이에스, 북미 에너지 기업과 전고체 고체전해질 소재 NDA 체결
씨아이에스(CIS)가 북미 에너지 기업과 전고체 고체전해질 소재 개발 및 공급을 위한 비밀유지계약(NDA)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 씨아이에스 측은 본 NDA를 체결한 상대 기업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을 신사업으로 본격 추진하고 있어 향후 양사간 협업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씨아이에스는 올해 초 흡수합병한 씨아이솔리드와의 프로젝트로부터 시작된 협력 관계를 NDA 체결을 통해 공고히 하며, 북미 시장에 전고체 배터리용 고체전해질 소재를 대량 공급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씨아이에스 관계자는 &ldquo..
-
랑세스, LFP 배터리 양극재용 고품질 산화철로 ICIS 혁신상 수상
랑세스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재용 고품질 산화철 개발로 ICIS 혁신상을 수상했다. 랑세스는 “대기업 최고 제품 혁신” 부문에서 LFP 배터리 가치사슬 발전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LFP 배터리는 높은 열 안정성과 사이클 안정성을 갖춘 안전하고 경제적인 배터리로, 전기차와 고정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주로 사용된다. 세계 최대 합성산화철 공급자 랑세스는 LFP 배터리 양극재 합성에 사용되는 고순도 산화철을 베이옥사이드(Bayoxide) 브랜드로 공급한다. 랑세스의 배터리 등급 산화..
-
성안머티리얼스, 성림첨단산업과 희토류 메탈바 공급 계약 체결
성안머티리얼스(011300)가 국내 유일 희토류 영구자석 생산기업인 성림첨단산업과 희토류 메탈바(NdPr Metal)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계약금액은 24억원 규모로 이번 계약을 통해 성안머티리얼스는 미국산 희토류 산화물 30톤을 내년 3월 말까지 성림첨단산업에 공급한다. 지난 5월 안산공장에서 국내 최초로 순도 98% 이상 희토류 메탈바(NdPr Metal) 생산에 성공한 데 이어 국내 유일의 영구자석 제조업체인 성림첨단산업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해 공급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 최근 미국이 대..
-
바스프-페트로나스 합작사, 말레이시아에서 2-에틸헥사노익산(옥실산) 생산능력 확대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와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페트로나스(PETRONAS Chemicals Group Berhad) 간의 합작법인인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BASF PETRONAS Chemicals , BPC)이 말레이시아 내 콴탄 사이트에서 2-에틸헥사노익산(2-Ethylhexanoic Acid, 2-EHA, 2-옥실산) 생산라인에 대한 확대 증설을 완료했다. 이번 증설로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은 2-EHA 생산능력을 기존 30,000톤에서 60,000톤으로 확대했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증가하는 고객의 고품질 2-EH..
-
바스프, 차세대 IGBT 반도체의 에너지 및 전략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고성능의 폴리프탈아미드(PPA) 소재 출시
바스프가 차세대 전력 반도체IGBT(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하우징 제조에 최적화된 폴리프탈아미드(PPA) 소재를 개발했다. 바스프는 새로운 울트라미드 어드밴스드(Ultramid® Advanced) N3U41 G6을 통해 전기차, 고속 열차, 스마트 제조 및 재생에너지 발전 등에 활용되는 고성능의 안정적인 전자 부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GBT는 전력 전자장치에서 전기 회로의 효율적인 스위칭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전력용 반도체의 일종이다. 차세대 IGBT를 위한 소재 확보가..
-
석경에이티, 이스라엘 환경기업과 SRM 기술 실증 평가 순항
석경에이티(357550, 대표 임형섭)가 자사의 표면 처리된 실리카 소재를 적용한 태양 복사 관리(SRM, solar radiation management) 기술이 곧 상용화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해당 실리카 제품 공급이 점진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석경에이티는 이스라엘 환경기업 S사(社)와 '미세 입자 SRM 기술'을 협력 개발 중으로, 이 기술은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 현상에 대응하고자 햇빛을 반사하는 미세 입자(에어로졸)를 약 18km 상공 성층권에서 흩뿌려 작은 반사 입자 구름을 분산시..
-
그린리소스, 자회사 파이널텍 등 총 58억원 규모 초전도선재 장비 수주
그린리소스(402490, 대표이사 이종수, 이종범)는 자회사 파이널텍으로부터 초전도선재 IBAD증착장비를 수주받았다고 8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같은 날 초전도선재 전문 기업 서남의 IBAD증착장비 수주 건도 공시했다. 자회사 파이널텍과 계약한 수주액은 약 32억 원이고 계약기간은 24년 10월부터 25년 10월까지 12개월이다. 파이널텍은 그린리소스의 초전도선재 관련 소재 전문 자회사로 표면처리 및 전해연마 등의 기술력으로 지난 5월 5년간 총 77억원 규모의 초전도선재 부품화 기술개발 관련 국가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되기..
-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中 Air-xi Gage에 자동차부품소재 연간 100억원 납품계약 체결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가 9월25일 킨텍스 ‘대한민국방위산업전’ 전시장에서 중국 내연기관 계측장비 및 자동차부품 시제품 생산회사 Air-xi Gage Company와 자동차부품 물성강화 소재 및 전기자동차용 전자파 차폐 소재 등의 납품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의 주요내용은 그래핀강화 자동차부품 소재 1,200톤과 전자파 차폐 소재 20톤을 2024년 11월30일부터 2025년 11월 30까지 연간 공급방식으로 납품하는 것으로 계약금액은 100억원 가량이다. 물품 구매처인 중국 Air-xi Gage..
-
LG화학, 일본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솔루션에 양극재 공급
LG화학은 토요타 자동차와 파나소닉의 일본 합작법인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 솔루션(Prime Planet Energy & Solutions, PPES)에 양극재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PPES는 일본 선도 배터리 제조사 중 하나로 토요타 자동차를 비롯한 글로벌 OEM 다수에 전기차용 배터리를 공급하는 회사다. LG화학은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일본 PPES를 신규 고객으로 추가하는 성과를 확보했으며, 2026년을 목표로 일본 PPES 공장에 양극재를 공급할 계획이다. EV용 양극재를 선도하는 LG..
-
SES AI, 전기 운송 소재 개발 가속화를 위해 크루소, 엔비디아, 슈퍼마이크로와 ‘과학을 위한 AI’ 이니셔티브 추진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의 선두기업 SES AI Corporation (SES AI)이 전기 운송 분야의 소재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획기적인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인공지능(AI)에 최적화된 최첨단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소분자 세계를 매핑하는 이 선구적인 프로젝트는 배터리 화학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고,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개선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선행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엔비디아(NVIDIA)와 슈퍼마이크로(Supermicro)의 기술로 구동되는 크루소(Crusoe)의 혁신적인 AI 클라우드..
-
바스프, 타카주리와 동아프리카 지역의 기후 탄력적 건축 설계 지원
바스프가 케냐의 친환경 건축 소재 기업 타카주리(Takazuri)와 협력을 통해 동아프리카에서 지속 가능한 스마트 빌딩 솔루션을 개발했다. 새로운 솔루션은 지속 가능한 제품 사용을 통해 기후 탄력성을 구축하기 위해 현지에서 수거된 폐기물을 활용하는 타카주리의 클라이머타일 (Climatile™) 기술 및 동아프리카의 독특한 기상 조건에 맞도록 특별히 맞춤 제작된 바스프의 첨가제 패키지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바스프와 타카주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아프리카의 경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장기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솔루션을 제공하..
-
바스프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 고객사와 협업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전략적 로드맵 공개
바스프의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이 2050년 탄소 중립 달성 및 순환 경제를 위한 전략적 로드맵을 공개했다.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은 혁신적인 맞춤형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바스프의 모든 소재 노하우를 집약하여 플라스틱 분야의 지속 가능성 전환에 앞장설 예정이다. 바스프 글로벌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 사장 마틴 융(Martin Jung)은 “우리는 낮은 탄소 발자국을 가진 포트폴리오 및 다양한 순환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의 지속 가능한 전환을 지원하고자 한다”며, “플라스틱을 보다 자원 효율적으로 생..
-
포스코그룹, 탄자니아 흑연광산 개발 투자 확대
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이계인)은 3일 호주 퍼스 크라운타워스에서 열린 ‘제45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 합동회의’에 참석해 호주계 광업회사인 블랙록마이닝과 4000만불 규모의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해 메들린 킹 호주연방 자원부 장관,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대표이사,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총괄 등이 참석했다. 포스코그룹은 3월 장인화 회장 취임과 동시에 ‘이차전지 풀 밸류체인 구축’ ..
-
TKG애강, 산자부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국책과제 선정
TKG애강(대표이사 서정환, 022220)이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연구 수행 업체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제조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해외 의존도를 완화하고 국내 기술 고도화,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부품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TKG애강은 ‘10년 이상 장기내구성을 갖는 수소 이송 배관 부품’ 개발에 산학연과 공동 참여하게 된다. 연구 기간은 24년 7월부터 27년 12월까지..
-
아반토코리아, ’2024 한국질량분석학회 여름학술대회’ 참가
아반토코리아(한국대표 동석원)는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GSCO)에서 열리는 ‘2024 한국질량분석학회 여름정기학술대회’에 참가했다고 2일 밝혔다. 2024 한국질량분석학회 여름정기학술대회에서 아반토코리아는 부스를 운영하며 실험실 및 연구 시설의 요구를 충족하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솔루션을 선보였다.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는 분자 구조 및 성질에 따라 혼합물의 물질을 분리하는 기법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샘플의 크기에 따라 적용하는 기법이 달라질 수 있다. 아반토..
-
석경에이티, EV 배터리용 초경량 고방열 신소재 양산화∙제품화 과제 선정
석경에이티(357550)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진흥원으로부터 전기차 및 전자기기 배터리에 적용하는 초경량 고방열 신소재의 양산화∙제품화 과제에 선정됐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과제의 명칭은 '고열전도성 열계면 나노 코팅 소재 검증 및 양산성능평가'로, 주관기관 석경에이티는 공동연구개발기관 가톨릭대학교와 함께 '세라믹 나노 화합물 열계면 소재(방열∙난연 소재)'의 양산화 및 제품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수요 기업은 전기차용 열관리..
-
LS전선, ‘비금속 수소관’ 국산화 추진
LS전선은 한국가스안전공사 등과 함께 국책과제로 ‘비금속 수소관 국산화’를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이 과제를 통해 LS전선은 수소 에너지 밸류체인에 선제적으로 진입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비금속 수소배관은 기존 금속 배관의 취성(수소가 금속 내부를 파괴하는 현상) 및 부식 문제를 해결하고, 강도와 유연성을 갖춘 플라스틱 복합 재료를 사용해 안전성을 제고한다. 또한, 150m 이상의 길이로 생산 및 운송이 가능해, 10~12m 단위의 금속 배관 대비 시공 경제성이 크다.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