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웰케어, 국립생물자원관과 손잡고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찾는다
바스프, 아태지역 최초 바이오 기반의 폴리올 ‘Sovermol’ 생산
(주)진영, 친환경 소재 ‘ASA’ 앞세워 글로벌 마감재 시장 점유율 확대
랑세스, 바이오순환 스티렌 기반의 지속가능한 이온교환수지 공급
석경에이티, ‘Boracite’ 결정구조의 전고체전지용 전해질 개발 성공
바스프, 카길 프로비미와 파트너십 확대... 국내 동물성 단백질 생산업체에 고성능 효소 솔루션 제공
바스프, 천연가스로 블루 수소·암모니아 생산하는 첫 실증 프로젝트에 탄소포집기술 ‘HiPACT’ 제공
알칸타라, 2024 S/S 시즌 컬렉션 ‘닌페아’ 공개
펌텍코리아 관계회사 부국티엔씨, 에코바디스 ESG '실버 등급' 획득
아이엘사이언스, 실리콘 소재 전조등렌즈 철도 전동차에 적용
-
KT, 몽골 몬니스 그룹과 자원개발·채굴 위한 MOU 체결
KT(대표이사 구현모, www.kt.com)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몬니스(Monnis) 그룹과 희토류 광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몬니스 본사에서 진행된 희토류 광물 사업 협력을 위한 MOU에는 KT 문성욱 글로벌사업실장과 몽골 몬니스 그룹 출룬바토르 바즈(Chuluunbaatar Baz) 회장이 참석했다. 몬니스 그룹은 1998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자동차, 광산, 중장비, 토목, 항공, 무역 등 6개 사업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기업으로 연 평균 매출 5천억원 ..
-
글로벌 컬러가전 트렌드를 위한 랑세스 ‘마크로렉스’ 친환경·고품질 유기염료
랑세스의 프리미엄 유기염료 마크로렉스(Macrolex®)가 ‘컬러가전’을 위한 친환경·고품질 착색제로 주목받고 있다. 랑세스 마크로렉스는 플라스틱 착색용 고품질 유기염료로 밝고 일정한 색 구현, 수십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우수한 색 지속성이 특징이다. 세계 각국의 각종 규제 승인을 획득한 우수한 인체 안전성, 그리고 다양한 소재에 적용 가능한 뛰어난 착색력으로 국내 유수 컬러가전 제조사의 선택을 받고 있다. 마크로렉스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미국 FDA및 일본 JCII[1] 등의 각..
-
코닝 Gorilla Glass Victus 2, 삼성전자의 차세대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담긴다
코닝은 오늘 삼성전자가 차세대 갤럭시 스마트폰의 부품으로 코닝 Gorilla® Glass Victus® 2를 채택한다고 발표했다. Gorilla Glass Victus 2는 새로운 유리 조성으로 이전 세대인 Gorilla® Glass Victus®의 스크래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등 거친 표면에서 향상된 낙하성능을 구현한다. 데이비드 벨라스케즈(David Velasquez) Gorilla Glass 부사장 겸 총괄책임자는 “오늘날 소비자는 손상에 강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기대한다..
-
영창케미칼, 반도체 핵심 공정용 신소재 2종 양산… 1분기부터 매출 반영 기대
영창케미칼(112290)이 반도체 필수 공정용 신소재 2종의 신제품 양산을 시작한다. 회사 측은 “2종의 신소재 제품은 CMP 공정용 텅스텐 슬러리와 TSV 슬러리로, 해당 제품군의 양산이 시작되는 올해 1분기부터 바로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높은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텅스텐 슬러리는 금속계열 슬러리의 주요 소재인 구리(Cu)에 비해 연마도가 우수하고 전도성이 뛰어나 차세대 대체제로 주목 받고 있으며, TSV 슬러리는 실리콘 관통전극이라고 불리는 TSV(Through Silicon ..
-
CJ HDC 비오솔, 생분해 소재 컴파운딩 공장 준공
CJ HDC 비오솔(이하 비오솔)이 친환경 생분해 소재 컴파운딩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비오솔은 최고 수준의 미생물 발효·정제 기술을 보유한 CJ제일제당과 국내 고분자 컴파운딩 업계 1위인 HDC현대EP가 손 잡고 지난해 2월 설립한 합작법인(JV)이다. ※컴파운딩(Compounding): 두 개 이상의 플라스틱 소재를 최적의 배합으로 섞어 용도에 맞는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공정 비오솔은 충북 진천 광혜원지방산업단지에서 생분해 소재 컴파운딩 공장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
조광페인트, 5G 반사체 도료 시연회 개최
조광페인트㈜가 18일(수) 포스텍 (포항공과대학교), 크리모,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와 함께 포스텍 캠퍼스에서 5G 음영 지역 해소용 도료 및 반사체에 대한 시연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5G 음영 지역 해소용 도료’는 지난 2022년 8월 크리모㈜와 포스텍이 함께 개발한 도료형 반사체로, 실내에 들어온 5G 전파를 도료를 활용해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는 세계 최초의 전파 표면 구현 기술이다. 별도의 기기 설치없이 도료를 활용한 반사체를 실내외 어디건 눈에 띄지 않도록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력 ..
-
랑세스 ‘듀레탄 PA6’, 고가의 PA66 대체 소재로 비용 및 탄소발자국 감축 혜택
랑세스가 고가의 폴리아미드 66(PA66) 컴파운드를 대체할 수 있는 PA6 기반의 듀레탄(Durethan) 고성능 플라스틱 소재를 소개한다. 듀레탄 PA6는 PA66 소재와 동등한 수준의 물성과 경량화 설계, 안전성을 보장하면서 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 컴파운드다. 특히 PA66대비 탄소발자국이 40%가량 낮은 저탄소 소재로 비용효율성과 탄소발자국 저감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만큼, 지속가능한 기후중립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폐유리 활용 ..
-
LS전선, 전기차부품용 알루미늄 신소재 사업 확대
LS전선이 관계사인 LS알스코와 함께 알루미늄 신소재 사업 확대에 나선다. LS전선은 고강도 알루미늄 신소재가 미국 알루미늄협회(Aluminum Association, AA)로부터 고유 합금번호(AA8031)를 부여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AA8031은 기존 알루미늄 소재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강도를 기존 대비 40% 이상 강화하고 유연성을 개선했다. 또, 알루미늄의 강도를 강화할 경우 전도율이 떨어지는 단점도 개선했다. LS전선은 알루미늄이 구리보다 가벼워 자동차 등 경량화가 중요한 산업에서 구리를 대체, 시장이..
-
LG화학, 미쓰비시 자동차에 ‘금속 대체 플라스틱’ 적용
LG화학은 미쓰비시 자동차의 스포츠형 다목적 차량(SUV)인 아웃랜더(Outlander), 델리카(Delica) D:5, RVR 3종의 프런트 펜더에 LG화학의 정전도장 플라스틱 소재(제품명 LUCON TX5007)가 적용됐다고 10일 밝혔다. 프런트 펜더(휀다)란 앞쪽 타이어를 덮고 있는 자동차 옆면의 외장 부품이다. 운전 중에 지면으로부터 튈 가능성이 많은 진흙이나 물부터 차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자동차 외장에 색을 입힐 때 정전기의 달라붙는 성질을 활용하는 정전도장[1]을 주로 사용하는 만큼, 소재에 전기가 통해야 ..
-
제이오, LG화학과 국내 2차전지 도전재용 CNT 제조 ‘양강구도’ 구축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제이오(대표이사 강득주)가 생산능력(Capa) 확대로 국내 2차전지 도전재용 탄소나노튜브(CNT) 시장에서 LG화학과 양강체제를 구축했다. 제이오는 지난 2006년 국내 최초로 탄소나노튜브 양산에 성공한 기업으로,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품질을 좌우하는 직경, 길이, 형상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독자적인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기존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연산 1,000톤 규모의 탄소나노튜브 생산능력을 확보했으며, 오는 2025년도까지 연산 5,000톤 규모의 생산설비를 구축 완료해 생산능력을 증..
-
이그니스, CES 2023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캔 뚜껑 ‘클룹캡’ 선보여
이그니스(대표 박찬호)가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 참가해 개폐형 캔뚜껑 ‘클룹캡’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그니스는 참신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탄생한 개폐형 캔뚜껑 클룹캡의 활용도와 가능성을 시현하기 위해 이번 CES 2023 푸드테크 부문에 참여했다. 클룹캡은 기존 캔음료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개폐형 캔 뚜껑으로, 이미 개봉한 캔음료도 밀폐가 가능하다. 특히 탄산음료에 적용했을 때 유용한..
-
제이오, 탄소나노튜브 생산시설 1000톤 규모 증축 완료
㈜제이오(대표이사 강득주)가 1,000톤 규모의 탄소나노튜브(CNT) 생산능력(Capa)을 확보했다. 제이오는 경기도 안산 시화 멀티테크노밸리에 위치한 안산공장의 탄소나노튜브 생산시설을 연산 1,000톤 규모로 증축해 준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연구개발 지원 등을 통해 확보한 탄소나노튜브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난 2015년 100톤 규모의 생산능력을 처음 확보한 지 7년 만에 10배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지난 28일 개최된 증축 준공 기념식에는 강득주 제이오 대표이사와 안산시, 산업통상자원부 관..
-
랑세스, 전기차 배터리 인클로저를 위한 고성능 플라스틱 ‘듀레탄’ 선보여
랑세스가 전기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인클로저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듀레탄(Durethan®)’을 소개한다. 배터리 인클로저는 고전압 배터리와 전기 부품, 센서, 커넥터 등을 외부 충격과 열,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물이다. 현재 대부분의 전기차 배터리 인클로저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지속가능성 향상, 생산단가 및 무게 절감, 기능통합 등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플라스틱 소재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랑세스의 폴리아미드(PA) 6 기반 ‘듀레탄&..
-
코닝과 LG전자,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지속 가능한 유리 솔루션 발표
혁신적인 차량용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코닝은 금일 소비자 가전 및 차량 부품 솔루션 기술의 혁신 선도기업인 LG전자와 협력을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양사는 자동차 전장 기술과 자동차 유리 전문성을 결합, 프리미엄 유럽 자동차 업체로의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공급을 통한 차량 내 커넥티비티 고도화 및 탄소 배출량 저감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추진해 왔다. 자동차업체들은 새롭고 몰입감 높은 사용자 주행 경험 제공과 함께 자동차 산업의 기후 목표 달성과 이니셔티브를 실천하는 방법들을..
-
화승소재, BGF에코머티리얼즈와 미래 복합소재 및 친환경 소재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
화승코퍼레이션의 글로벌 화학소재 전문 자회사인 화승소재(대표 허성룡)가 BGF그룹의 소재 부문 계열사 BGF에코머티리얼즈(前 코프라, 대표 홍정혁)와 미래 복합소재 및 친환경 소재의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와 관련 양사는 8일 경남 양산 소재 화승소재 본사에서 화승코퍼레이션 통합기술센터 윤우원 센터장과 이무정 상무, BGF에코머티리얼즈 박현달 부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 협약식을 갖고, R&D 전략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화승소재의 고..
-
사빅, 새로운 ULTEM DT1820EV 수지 출시
사빅(SABIC)은 오늘 금속 대비 약 25%의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소비자 가전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과 미적 가치를 향상시킨 새로운 ULTEM™ 계열의 수지를 출시했다. 새로운 ULTEM™ DT1820EV 수지는 무도장 칼라, 2차 도장 혹은 물리적 기상 증착(PVD)을 사용한 도금과 같은 다양한 장식 미학적 탁월한 표면을 구현할 수 있는 부드럽고 고광택의 마감을 제공한다. 이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소재는 스크래치를 최소화하는 우수한 표면 경도와 PVD 레이어 균열 방지에 도움이 되는 높은 강성으로 외..
-
고어 섬유사업부, 확장 폴리에틸렌(ePE) 멤브레인 '100대 혁신 제품' 꼽혀
고어(W. L. Gore & Associates) 섬유사업부는 혁신적인 확장 폴리에틸렌(ePE) 멤브레인이 파퓰러 사이언스(Popular Science)의 제35회 베스트 오브 왓스 뉴 어워드(The 35th Best of What’s New awards)에서 ‘올해의 100대 혁신 제품(The 100 greatest innovations of 2022)’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파퓰러 사이언스는 1988년부터 매년 수많은 제품을 검토해 100대 혁신 제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