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엘, 리튬 금속 덴드라이트 억제 핵심기술 PCT 국제출원…157개국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심파텍스, 기능에 감성 더하며 모든 복종으로 영역 확대
올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전년比 2% 증가
광동제약, 농업 부산물 업사이클링 소재 개발 국책과제 참여
LS에코에너지, 베트남 정부와 희토류 공급망 협력 논의
LS머트리얼즈, 아시아 최초 고강도 알루미늄 부품 양산체계 구축
심파텍스 퍼포먼스 데이에서 혁신적인 섬유산업의 자원순환 솔루션 제안
KS인더스트리, 준불연 원단 '파이어헌터'로 글로벌 시장 확대 본격화
도레이첨단소재, 쿨링 효과 뛰어난 냉감원사 ‘스노렌’ 개발
바스프, 독일 루트비히스하펜에 ‘반도체용 황산’ 생산시설 증설
-
LG화학, 포스코홀딩스와 CCU 기술 실증사업 맞손
LG화학이 포스코홀딩스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한다. LG화학은 7일 과기부 주관의 CCU 메가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화학·철강 산업 연계의 CCU 기술 실증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포항 제철소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 LG화학의 DRM(Dry Reforming of Methane·메탄건식개질) 기술로 석탄 대신 환원제로 사용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CO), 수소를 생산한다. ※ 환원제: 철광석처럼 산소와 결합된 금속에서 산소를 때어내 순수한 금속을 얻을 때 사용하는 물질 제..
-
엘앤에프, NCMA95 신규 제품 수요 급증으로 2025년 연간 출하량 목표치 상향
엘앤에프가 30일 컨퍼런스콜을 통해 NCMA95 신규 제품 수요 급증으로 2025년 연간 출하량 목표를 전년대비 4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초 제시했던 전년 대비 30% 출하량 증가 목표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엘앤에프는 “전기차 수요 둔화로 어려운 시기임에도, 북미 고객사의 신규 EV 모델 판매가 호조에 힘입어 출하량 목표치를 상향 조정하게 되었다”고 밝히며, “특히 신규 제품 공급이 본격화되는 2분기는 전분기 대비 70% 출하량 성장이 예상되고,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출하량..
-
SES AI, AI 기반 배터리 소재 개발 플랫폼 '분자 우주 MU-0' 첫 공개
SES AI Corporation(NYSE: SES)이 오늘 0시(미국 동부 기준 4월 29일 오전 11시)에 진행된 온라인 라이브 데모에서 '분자 우주 MU-0(Molecular Universe MU-0)' 플랫폼을 일반에 최초로 공개했다. 참가자들은 이 혁신적인 툴이 배터리 개발에 가져올 변화를 직접 확인했다. '분자 우주 MU-0'는 SES AI의 최신 배터리 소재 발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이다. 리튬메탈, 리튬이온, 나트륨을 포함한 모든 배터리의 화학과 관련해 가능한 모든 소분..
-
효성티앤씨 - 무신사, ‘친환경’으로 뭉쳤다
효성그룹 소속의 섬유 소재 전문 기업 효성티앤씨가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친환경 패션 시장 확대를 위해 뭉쳤다. 효성티앤씨는 최근 무신사가 전개하는 지속 가능 라이프스타일 큐레이션 무신사 어스와 친환경 패션 제품 관련 협력을 위한 업무 제휴 협약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환경의 날’에 무신사 입점 7개 브랜드와 제품 선보일 예정 이번 협약은 효성티앤씨가 생산한 리사이클 섬유 ‘리젠’(regen)을 무신사 입점 브랜드 제품에 확대 적용하는 게 골자다. 무신사는 입점 브랜드 ..
-
나노팀, 480억 원 갭필러 추가 수주…EV4를 포함한 국내, 유럽 양산물량
나노팀(417010, 대표이사 최윤성)은 신형 전기차 EV4 등에 탑재되는 예상 매출 약 480억 원 규모의 고성능, 저비중의 갭필러를 지난 3월부터 공급하기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나노팀은 미국 현지에서 양산되는 전기차에 적용되는 전 차종 갭필러를 공급에 이어 EV4의 국내 양산물량에도 갭필러를 3월부터 공급하기 시작했다. 올해 하반기부터 EV4의 유럽 양산물량에도 갭필러를 공급할 예정이고 향후 EV4 이외 전기차 모델의 국내, 유럽 양산물량에도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회사는 전기차 시장에서 방열소재의 품질에 대한..
-
바스프, 일본 하기하라社와 ‘고내구성 인조잔디’ 공동 개발
바스프가 일본의 대표적인 합성 섬유 생산업체인 하기하라 인더스트리(이하 하기하라)와 협력해 축구, 야구, 테니스 등 다양한 스포츠 경기장에서 사용하는 고내구성 인조잔디용 폴리올레핀 원사를 공동 개발했다. 양사는 티누빈(Tinuvin®)을 기반으로 3년간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인조 잔디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켜 햇빛 노출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하고 색상 유지력을 높인 고성능 제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바스프의 광안정제 제품군은 자외선을 무해한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햇빛으로 인한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
HS효성첨단소재,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박차
HS효성첨단소재가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지구의 날(22일)을 앞두고, HS효성첨단소재는 2022년부터 투자한 미국의 화학 기술 스타트업 트릴리엄사(Trillium Renewable Chemicals)가 식물성 원료로 만든 친환경 바이오 아크릴로니트릴(ACN)을 100% 바이오 기반 우주항공 등급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로 중합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은 기존 석유계 프로필렌 원료가 아닌 트릴리엄사의 바이오 아크릴로니트릴로 고성능 탄소섬유를 생산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것..
-
바스프, 고기능 플라스틱 ‘울트라손 D‘ 출시로 정밀 전자부품 시장 공략
바스프가 고성능 열가소성 플라스틱 ‘울트라손(Ultrason®) D 1010 G6 U40‘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까다로운 사양이 요구되는 전자전기 부품의 성형에 최적화된 고유동 소재로, 스마트 전자기기, 데이터 및 에너지 전송, 스마트 전자 제품 및 e-모빌리티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폴리에테르술폰을 기반으로 한 이 컴파운딩 소재는 낮은 가공 온도에서도 우수한 유동성을 발휘해 정교한 스위치, 회로 차단기, 센서, IGBT 및 번인 테스트 소켓과 같은 반도체 부품 생산에 이상적이다..
-
디카본, 첨단산업에 활용되는 99.98% 고순도 수소 추출 성공
디카본(대표이사 김지수)이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 실시한 가스 성분 분석을 통해 99.98% 이상의 고순도 수소를 성공적으로 추출했다고 16일 밝혔다. 고순도 수소는 반도체 및 석유화학제품부터 연료전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첨단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고순도 수소의 추출은 불순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엄격한 정제 과정을 거쳐야만 하기에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은 분야에 속한다. 디카본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폐플라스틱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등 수준 높은 기술력을..
-
바스프의 고성능 친환경 소재, ‘기아 EV3 스터디카’에 적용
바스프와 현대차 그룹이 다시 한번 손잡고 세 번째 콘셉트카를 개발했다. 이름은 ‘기아 EV3 스터디카‘이다. 현대차 그룹의 첨단 차량 플랫폼(AVP) 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Materials Research & Engineering Center)와 공동 개발한 이 스터디카에는 바스프의 친환경 혁신 기능성 소재가 활용되었다. 기아 EV3 스터디카는 성능, 디자인, 기능성은 물론 환경적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해 설계되었는데, 이를 위해 플라스틱, 섬유, 타이어, 철강 등 다양한 부문에서 바스프의 친환경 소재..
-
알칸타라, 2025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혁신의 중심에 서다
알칸타라(Alcantara)가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25(Milan Design Week 2025)’에서 다채로운 설치작품, 전시, 협업 프로젝트 등을 선보이며 자동산업 외에 다양한 일상생활 분야에서 디자인과 창의성, 혁신이라는 브랜드 핵심 가치를 다시 한번 조명했다. 모든 제품이 이탈리아에서 생산되는 알칸타라는 1974년 베르토네(Bertone)의 콘셉트카 람보르기니 브라보 인테리어에 처음 사용된 이래 약 50년간 세계 유수의 브랜드들과 협업을 이어오며 자동차 업계에서 중요한 파트너로써 다시 한번 입..
-
듀폰 반도체 CMP 패드, ‘에디슨 어워드’ 수상
듀폰은 자사의 화학기계적연마(CMP)용 연마패드인Ikonic™ 9000(아이코닉 9000) 시리즈가 ‘2025년 에디슨 어워드™(Edison Award™)’의 AI 기반 기술 발전 부문에서에서 브론즈(Bronze) 수상작으로 선장됐다고 10일 밝혔다. 듀폰은 반도체 기판 평탄화 공정에 사용되는 CMP(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화학기계적연마)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폴리싱 패드, 슬러리, 고급 세정 솔루션 등을 공급하고 있다. Ikon..
-
나인테크, 희토류 재활용 기술 상용화를 위한 개발 본격화
나인테크가 자회사 연화신소재와 함께 건식방식의 친환경적인 재활용 기술을 통해 핵심 희토류 소재의 상용화에 적극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반발하여 전방위적 대응에 나섰다. 이번 조치는 국내를 겨냥한 것은 아니지만 수출 통제 움직임을 보이자 국내 산업계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희토류 7종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사마륨은 코발트 자석에 쓰이고, 가돌리늄은 조영제, 테르븀 형광체..
-
코스메카코리아 - 성균관대, 친환경 계면활성제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 착수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는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탄소–탄소 간 산화적 절단 반응을 이용한 홀수계 친환경 계면활성제 합성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공동 연구는 현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친환경 계면활성제의 독자적인 합성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는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산업적 활용도는 물론 지속 가능한 소재 전략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 화장품 소재 산업의 기술 자립도를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친환경 계면활성제는 생..
-
바스프, 안산에 전자소재 R&D 센터 확장 이전 개소
바스프가 4일 경기도 안산에 전자소재 연구개발(R&D) 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전자소재 분야의 연구개발 역량과 효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 수원 R&D 센터를 바스프 안산공장 부지에 위치한 3층 규모의 새로운 시설로 확장 이전한 것이다. 바스프의 국내 전자소재 사업부는 새로운 터전에서 식각, 포토, 금속화학(Metalization Chemical) 등 반도체용 기능성 소재 개발에 집중하여, 첨단 반도체 제조 공정의 기술 및 품질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바스프 그룹 전자소재 사업부 총괄 로타 라우피..
-
바스프, 폐섬유 재활용 폴리아마이드 6 ‘루파미드’ 생산시설 가동
바스프는 섬유 폐기물을 재활용해 만드는 상업용 폴리아마이드(Polyamid) 6 루파미드(loopamid®) 생산 공장의 가동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중국 상하이 차오징(Caojing)에 위치한 이 공장은 연간 500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는 지속가능한 섬유 제품 공급 확대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루파미드는 100% 섬유 폐기물로 만든 재활용 폴리아마이드 6 이다. 이번 신규 생산 시설은 섬유 산업에서 갈수록 증가하는 지속가능한 폴리아마이드 6 섬유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슈테판..
-
심파텍스, 가죽 박람회 ‘리네아펠레 2025’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 선보여
독일의 친환경 기능성 소재기업 심파텍스 테크놀로지스(sympatex Technologies)가 ‘리네아펠레(Lineapelle) 2025’에서 지속 가능한 혁신을 선보였다. 지난 2월 25일부터 27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개최된 ‘리네아펠레 2025’는 가죽, 액세서리, 부자재, 합성소재 및 신발, 가죽 제품, 의류 등과 함께 가구용 소재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무역 박람회로 인정받고 있다. 심파텍스(sympatex)는 이번 ‘리네아펠레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