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빅, 탁월한 CTI 및 난연 성능을 지닌 고전압 EV 배터리의 초박형 절연 필름용 소재인 NORYL 수지 출시
렌징, 작업복 및 보호 장비 분야를 위한 탄소 제로 섬유 포트폴리오를 확장
엔바이오니아, 도레이첨단소재 ‘메타아라미드페이퍼’ 독점 계약 체결
알칸타라,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22에서 피노키오 재해석한 설치 작품 선보여
인디텍스, 인피니티드 파이버 컴퍼니와 1,000억 원 규모의 재생 섬유 공급 계약 체결
이녹스 계열사 티알에스, 음극재 ‘Si파우더’ 설비 준공식 개최
엘앤피코스메틱㈜ R&D Lab, '오일구상 코어 쉘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특허 등록
사빅, 해양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한 LNP ELCRIN IQ수지 출시
조광페인트, 국내 최초 철도차량용 페인트 친환경 인증 획득
S&P 글로벌 코모디티 인사이츠, 블루 암모니아 가격 지표 발표
-
다우, 지능형 자동차 램프용 신소재 ‘실라스틱 몰더블 실리콘’ 출시
다우가 지능형 자동차 램프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Adaptive Driving Beam·ADB)에 쓰이는 특수 액상 실리콘 고무인 ‘실라스틱 MS-5002 몰더블 실리콘(SILASTIC™ MS-5002 Moldable Silicone)’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실리콘 신소재는 매우 낮은 몰드 파울링(mold fouling) 성능으로 제조 사이클을 단축시키고,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에 고품질의 광학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어댑티브 드라이빙 빔의 트렌..
-
사빅, LDS로 도금이 잘되는 새로운 LNP 복합소재 출시
사빅 (SABIC)은 5G 기지국을 위한 다이폴 안테나와 기타 전기·전자 용도에 적합한 LNP™ THERMOCOMP™ OFC08V 복합소재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산업계에서는 이번에 출시된 소재로 가볍고 경제적인 플라스틱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어 5G 인프라 구축에 일조할 수 있다. 스마트 시티와 도시화 시대를 맞이해, 수많은 사람들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5G 통신망 보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사빅의 LNP& NORYL 스페셜티 사업 담당 조슈아 치오(Jo..
-
CJ제일제당,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PHA’ 본생산 개시
CJ제일제당이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경쟁력을 토대로 해양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PHA(polyhydroxyalkanoate)’ 대량생산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생분해 소재 전문브랜드 <PHACT>를 선보이며 미래 성장성이 높은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CJ제일제당은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바이오공장의 전용 생산라인에서 PHA 양산을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곳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상용화에 성공한 비결정(非結晶)형 aPHA(amorphous PHA)를 연간 5천톤 규모로 생산할 ..
-
아미노랩, 세종시에 '국내최초 동물혈액 복합자원화센터' 완공
아미노랩(대표이사 박해성, 기정욱)은 세종미래산업단지내 도축혈액을 활용한 복합 업사이클링 신축공장을 완공했다고 10일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완공된 혈액자원화 업사이클링 공장은 자체 효소분해 혈액자원화 기술로 도축혈액을 활용한 아미노산 사료 첨가제, 비료, 바이오 소재까지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공장부지만 5,126평방미터(약1,550평)규모로 연간 900톤의 사료첨가제와 420톤의 비료생산이 가능한 최첨단 자동화 설비와 친환경 R&D기계장치, 대규모 물류창고 등으로 총 100억원이 투자돼 조성됐다. 업계최초 ..
-
2022년 OLED 발광재료 시장 19억 달러 규모 전망
OLED 시장 조사 전문 업체인 유비리서치(www.ubiresearch.com)는 최근 ‘2022 OLED 발광재료 보고서’를 발간했다. 2022년 OLED용 발광재료 시장은 19억 달러로2021년 발광재료 시장인 17.8억 달러보다 6.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 패널 업체들의 재료 구매 비율이 전체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중국은 3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업체별로는 삼성 디스플레이가 전체 중 42.9% 비율로 1위를 차지하고, LG 디스플레이가 27.4%로 2위, B..
-
한국석유공업, PI첨단소재에 ‘리사이클링 유기용제’ 공급계약 체결
한국석유공업(004090, 대표이사 강승모/김득보)은 PI첨단소재에 리사이클링 유기용제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공급하게 될 제품(다이메틸폼아마이드, DMF)은 폴리이미드(PI) 필름의 주요 원재료 중 하나로 PI첨단소재는 안정적 원료 수급 및 원가 경쟁력이 강화된다. 한국석유공업은 신규 사업인 리사이클 비즈니스의 안정적 시장 진입과 추가 투자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 진다. 공급계약규모는 당사자의 요청에 따라 비공개했다. ‘리사이클링 유기용제’는 제조공정에..
-
렌징의 TENCEL 브랜드, 지속가능한 아웃도어 의류를 위한 Tree Climate 직물 컬렉션 런칭
렌징은 오늘 데이빗 파크스(David Parkes)와 마르코 웨이커트(Marco Weichert)와 같은 아웃도어 섬유 이노베이터가 큐레이팅한 TENCEL™ 브랜드의 Tree Climate 직물 컬렉션을 뮌헨 퍼포먼스 데이즈(Performance Days)에서 런칭하였다. 새롭게 선보인 Tree Climate 아웃도어 직물 컬렉션은 TENCEL™ 브랜드 라이오셀 섬유의 범용성과 다용도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번 컬렉션은 이너웨어부터 일반의류 그리고 아우터의 원단까지 그 다양성을 보여주고, 목재 기반 TENC..
-
석경에이티, 중공 실리카 활용한 기능성 원단 美 특허권 취득
석경에이티(357550, 대표 임형섭)는 중공 실리카(hollow silica)를 활용한 ‘기능성 원단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에 관한 미국 특허권을 취득했다고 27일 공시했다. 이번 미국 특허권 취득은 한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다. 석경에이티가 자체 연구개발로 보유하고 있는 중공 실리카 입자는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어 적은 양으로 효과적인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양한 상황에서 투습, 방습 ..
-
랑세스, 초고순도 리튬염 정제 위한 이온교환수지 레바티트 신제품 출시
랑세스가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원재료인 리튬염 정제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신제품 ‘레바티트(Lewatit) TP 308’를 본격 출시한다. 이온교환수지는 리튬염수 정제에 사용되며 기존 응집 침전 공정 대비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리튬 염수에서 칼슘 등 다가 이온을 제거 시 시간과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신제품 '레바티트 TP 308’은 거대 다공성 이온교환수지로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중금속이 포함된 저농도의 리튬염 용액을 정제하는데 특화된 제품이다. 레바티트 TP 308..
-
컬러레이, 사업 다각화 일환 ‘자동차 프라이머 코팅 도료’ 개발 완료
컬러레이(900310, 대표이사 줘중비아오)는 ‘녹색공정 기반 자동차 프라이머를 위한 고성능 나노 전도성 코팅 핵심소재 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에서 전문가 그룹의 심사를 거쳐 최종 검수를 순조롭게 통과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컬러레이의 자회사 컬러레이과기발전유한공사에서 진행한 저장성 성급 중점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자동차 프라이머(Primer, 기초 도장제)는 차체 도색 시에 플라스틱 표면을 부식이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페인트 도료의 점착성을 높이기 위해 차체 표면에 최초로 바르는 재료다..
-
랑세스, 식물성 원료로 만든 차세대 방부제 ‘프리벤톨’ 선보여
랑세스가 재생가능한 식물성 원료로 만든 지속가능한 방부제 ‘프리벤톨(Preventol®)’을 선보인다. 랑세스는 최근 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유럽산 식물성 기름에서 추출한 바이오 원료 기반의 차세대 산업용 방부제를 개발하게 됐다. 프리벤톨 방부제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 다양한 미생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해 소재와 최종 제품을 보호하고 사용수명 연장에 기여한다. 바이오 기반 프리벤톨 제품군은 가정용 세제 등 각종 소비재, 건축자재, 페인트와 코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
-
프롬바이오, 감태나무잎추출물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등재
프롬바이오(대표 심태진)가 연구개발한 감태나무잎추출물이 미국 화장품협회(PCPC)가 발간하는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에 등록됐다고 6일 전했다. 감태나무잎추출물(INCI name: Lindera Glauca Leaf Extract)은 프롬바이오가 항알러지 활성 실험 결과 알러지 질환의 개선, 치료, 발병 억제 원리를 입증해 올해 1월 국내 특허 등록한 항알러지용 조성물이다. 특허 등록을 마친데 이어 지난 달 10일 국제화장품원료집에도 등재하는 ..
-
엔바이오니아, 친환경 에어필터 소재개발 성과 가시화
엔바이오니아(317870, 대표이사 한정철)가 “항균성, 생분해성 및 발수성을 갖는 에어필터 여과지/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 2건을 획득하였다. 또한 이번에 개발한 에어필터 지지체용 바이오매스(biomass) 습식복합소재가 유럽 에코인증인 ‘오케이 바이오베이스드(OK biobased)’ 인증 최고 등급인 4star 등급을 취득했다고 28일 밝혔다. 엔바이오니아가 획득한 2건의 특허는 생분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과 발수성 등을 구비하고 있는 친환경적인 소재의 제조방법..
-
코닝, Corning Astra Glass 삼성 디스플레이의 QD 디스플레이에 채택
코닝은 삼성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QD 디스플레이 패널 라인에 Corning® Astra™ Glass가 채택됐다고 밝혔다. QD 디스플레이는 선명하고 강렬한 화질의 대형 TV와 모니터를 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다. QD 디스플레이 기술은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에 비해 더 넓은 시야각, 개선된 응답시간, 강화된 컬러 성능, 뛰어난 효율성을 얇은 폼팩터로 구현하여 최첨단의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 디스플레이의 QD 디스플레이 패널은 올해 상용화 될 여러 프리미엄 완제품 라인에 탑재될 예정이다. 임정한..
-
알칸타라, 2023 S/S 시즌 컬렉션 ‘와일드’ 공개
알칸타라가 2023 S/S시즌 알칸타라 소재 컬렉션 ‘와일드(Wild)’를 14일(현지시간) 선보였다. 이번 컬렉션은 혁신과 발전을 위한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을 선보이며 알칸타라와 패션 업계의 연결고리를 강화했다. 2023 S/S시즌 컬렉션 ‘와일드(Wild)’는 야생의 불가측성과 생명력, 그리고 도심 정원의 편안함과 고요함을 테마로 한다. 상충하는 두 가지 콘셉트는 이탈리아 장인정신(savoir faire)을 만나 변화무쌍한 알칸타라 컬렉션 속에서 불가분의 관계로 표현됐다. 알..
-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팔라듐 거래 급증
아이티센(124500, 대표 박정재)의 계열사인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대표이사 김현모, 김종인)이 팔라듐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제공하는 ‘센골드’의 올해 e팔라듐의 거래대금이 1,000억 원을 상회하며, 국내 상장된 팔라듐 ETF 총 거래대금의 6배를 훌쩍 넘었다. 팔라듐은 백금족에 속하는 희귀금속으로 글로벌 생산량의 40% 이상이 러시아에서 생산된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무력충돌이 장기화 양상을 띠며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이 커져 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
-
CK이엠솔루션, 인터배터리 2022에서 방열 솔루션 기술 선봬
㈜CK이엠솔루션(대표 양성아)은 오는 17일에서 19일까지 3일간 코엑스 A, B홀에서 개최되는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2’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국내 유일,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전문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박람회는 세계 3대 2차전지 전문 전시회 중 하나로 꼽히며, 국내외 글로벌 배터리 및 소재 업체와 완성차 업체들이 대거 참여하여 전기차 배터리 관련 최신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다. CK이엠솔루션은 이번 전시를 통해 △2차전지 △에너지저장시스템(ESS·Energy S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