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드, 이차전지 전처리 설비 가능한 납축전지 재활용 업체 '영한금속' 인수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디지털 변압기 모니터링 솔루션 ETE 출시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인터배터리’서 배터리 산업 혁신 이끌 토탈 솔루션 선보여
CK이엠솔루션, 인터배터리 2023 참가
TUV SUD(티유브이 슈드), ‘해상 풍력 산업 주요인사 초청 간담회’ 성료
정부-한국가스공사, 취약계층 가스 요금 감면 확대 박차
스맥,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술 개발 추진
GE와 IHI, 100% 암모니아 전소 발전이 가능한 가스터빈 개발 협력
EIPGRID - Intertrust, “SECURE VPP Platform” 구축 및 서비스 파트너십 체결
소니드, 배터리 재생 플랜트 사업부지 확보
-
대명에너지, 엔라이튼과 VPP기술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대명에너지(대표이사 서종현)가 엔라이튼(ENlighten, 대표 이영호)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대명에너지와 엔라이튼은 신재생에너지 분산 자원의 공동 개발사업 및 건설·운영·전력 서비스에 대해 상호협력하게 된다. 구체적인 협약 내용으로는 ▲전력 중개 ▲RE100 ▲O&M ▲자산관리 등이 있다. 대명에너지는 가상발전소(VPP, Virtual Power Plant) 사업 진출을 위해 연구조직을 갖추고, 발전소별 PMS(통합 ..
-
오스테드, 유럽 최대 친환경 e-메탄올 프로젝트 ‘플래그십원 (FlagshipONE)’ 최종 투자 결정 및 올 상반기 착공 돌입
오스테드는 유럽 최대 e-메탄올 프로젝트이자 오스테드 최초의 상업적 P2X (Power-to-X) 시설이 될 ‘플래그십원 (FlagshipONE)’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 (FID, Final Investment Decision)을 완료하고 올 상반기 착공에 돌입한다. 이번 결정은 재생 수소 및 그린 연료 분야에서 오스테드가 선도적인 위치를 갖기 위한 전략적 행보의 일환이다. 플래그십원은 스웨덴 외른셸스비크 (Örnsköldsvik)에 위치해 있으며, 2025년에 운영을 시작해 연간 5만..
-
소니드, 美 증시에 상장된 캐나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리사이클리코’와 맞손
소니드(060230, 대표 최시명)가 캐나다의 리튬이온 배터리 리사이클링 기업 ‘리사이클리코(RecycLiCo Battery Materials, Inc.)’와 배터리 리사이클 기술 제휴, 조인트벤처 설립 및 투자, 투자자 모집 등의 내용을 담은 MOU(업무협약)를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향후 한국 시장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재생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소니드는 한국 내 리사이클링 플랜트 건설 및 운영에 필요한 투자, 면허 및 인허가, 환경평가 등을 담당한다. 리사이클리코는 국제 특허를 ..
-
에퀴노르, 세계 해상 부유식 풍력 산업을 선도하다
에퀴노르(Equinor)가 2022년 부유식 해상풍력에서 연이어 새로운 기록을 세우며 전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업계를 주도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2GW급의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건설 사업자로 에퀴노르를 12월에 선정하였으며, 에퀴노르는 미국 해상풍력 산업을 성장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 11월에는 북해에 위치한 세계 최대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하이윈드 탐펜(Hywind Tampen)이 첫 전력을 생산했다. 전력은 북해에 위치한 해상 석유가스 플랫폼인 굴팍스(Gullfaks) A 플랫폼에게 공급되었다..
-
CIP, 대만 해상풍력 500MW 규모 설비용량 추가 확보
CIP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는 대만 해상풍력 3단계 개발 사업자 선정 입찰에서 500MW 규모의 펭미아오(Fengmiao)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펭미아오(Fengmiao) 프로젝트는 CIP가 대만에서 세 번째로 착수한 해상풍력 사업으로 대만 서부 타이중 시 연안 35km에 위치하며, 2025년 착공 후 2027년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CIP는 2017년 대만에 진출한 이래 해상풍력 사업을 적극 전개 중에 있다. 지난 2018년 4월 창팡(Changfang)·시다오(Xida..
-
트리나트래커, 삼성물산과 카타르 최대 규모 태양광 사업 개발 위한 트래커 공급 계약 체결
트리나솔라(Trinasolar)의 트래커 제조사업을 맡고 있는 트리나트래커(TrinaTracker)가 삼성물산과 함께 카타르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인 산업 도시 태양광 발전 사업(IC Solar) 개발을 위해 875MW 규모 태양광 트래커 공급 계약을 22일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카타르 메사이드 지역과 라스라판 지역 총 두 곳에 각각 417MW 및 458MW급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두 곳 모두 2024년 말 완공될 예정으로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가 소유한 산업단지와 에너지 관련 시설을 포함한 ..
-
자이글, 국내 유일 LFP 전지사업 인수 계약 체결
자이글(234920)은 CM파트너 전지사업부문의 제조 공장과 생산설비, 개발 등 유무형 자산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인수가액은 약 74억원 규모이다. 자이글은 LFP(리튬•인산•철)배터리 시장 성장이 본격화될 것으로 파악해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10년 이상의 LFP 관련 분야 연구와 제조 경험이 있는 CM파트너의 2차 전지사업부분의 인수를 결정했다. LFP배터리는 주로 전기 오토바이, 골프 카트, 전기 스케이트보드 등 운송 응용 분야에서 수요가 높고 의료기기, 전자 담배, 스마트폰 및 태..
-
SES, ‘제2회 배터리 월드’서 국내 리튬메탈 배터리 생산시설 첫 공개
SES AI Corporation(SES)이 14일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SES 배터리 월드’를 개최하고, 차세대 리튬메탈 베터리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과 진전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SES는 이번 행사에서 국내 첫 생산시설의 영상도 공개했다. 최근 충주에 완공되어 본격 가동에 들어간 국내 생산시설에서는 50Ah 및 100Ah 리튬메탈 배터리가 생산된다. 치차오 후 SES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는 “2022년은 어려움이 참 많은 해였다. 그러나 그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는 놀라운 성..
-
CCell, 일렉트라 어워드(Elektra Awards) 올해의 전력 시스템 제품 부문 수상
CCell은 해양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며 연안침식을 방지하려는 노력으로, 런던에서 열린 2022 일렉트라 어워드(Elektra Award) 올해의 전력 시스템 제품 부문에서 13개의 경쟁사를 제치고 수상의 영광을 누렸다. CCell은 영국에 본사를 두고 해양 생태계와 전 세계 지역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하여 연안 침식을 완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CCell은 11월 30일 런던에서 개최된 2022 일렉트라 어워즈(Elektra Award)에서 올해의 전력 시스템 제품 부문을 수상했다. C..
-
금양그린파워, 효성중공업 2,500억 원 규모 ESS공사 공동 수주
금양그린파워㈜(대표 이윤철)와 효성중공업㈜(대표 요코타 타케시)는 금번 한국전력공사가 발주한 ‘공공ESS’ 중, 경남 부북변전소에 설치되는 154kV 336MW급 ESS설치공사를 공동으로 수주해 올해 말 착공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공공 ESS 사업’은 ‘계통안정화용 ESS사업’으로, 신재생 에너지설비의 설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계통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한국전력공사가 설비의 안정화를 위해 전국 주요지점 변전소에 ESS설비를 설치해 전원의 주파수관리..
-
LS전선, 英해상풍력단지에 4,000억 HVDC 케이블 공급계약
LS전선이 해외에서 대규모 해저케이블 공급 계약을 잇따라 체결했다. LS전선은 영국 북해 뱅가드(Vanguard) 풍력발전단지에 4,000억 원 규모의 HVDC 케이블을 공급한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전선업체가 유럽에서 따낸 역대 최대 규모의 공급 계약이다. LS전선은 9일 대만에서 2,0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써 LS전선이 올 한 해 북미와 유럽, 아시아에서 따낸 대규모 수주는 약 1조 2천억 원에 이른다. 뱅가드 풍력발전단지는 스웨덴 국영전력회사인 바텐폴(Vattenfall)社가 ..
-
LS전선, 대만 해상풍력 2,092억 해저케이블 공급 계약
LS전선은 대만 하이롱 해상풍력단지에 1억5,000만 유로(약 2,092억 원) 규모의 해저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10월 체결한 우선협상대상자 계약의 본계약이다. 이로써 LS전선은 지금까지 발주된 대만 해상풍력단지 1차 사업의 초고압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모두 따냈다. 총 계약금액은 약 8,000억 원에 이른다. 하이롱 해상풍력단지는 대만 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단지 중 하나로서 캐나다 노스랜드파워 (Northland Power)社와 싱가포르 위산에너지(Yushan Energy..
-
CIP/COP 코리아, 울산 해울이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공급망 기업설명회 개최
CIP/COP 코리아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쳐 파트너스, 코펜하겐 오프쇼어 파트너스 코리아)가 7일 울산 롯데호텔에서 협력사 상생과 현지 파트너십을 위한 ‘울산 해울이 부유식 해상풍력사업 공급망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사브리나 미어슨 마이네케 주한덴마크대사관 부대사, 김영문 한국동서발전 사장, 김종원 코트라 그린성장 실장, 김대환 (사)울산부유식해상풍력공급망지역협회 회장, 한센 크누드 비야네 CS WIND 사장을 비롯하여 약 300여 명의 관련 기업 및 기관,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
-
쎄노텍, 중국 2차전지 배터리원료업체향 36억 원 규모 공급 계약 체결
쎄노텍(222420, 대표이사 이승호, 허명구)가 중국 2차전지 배터리 원료업체향 초소형 세라믹 비드(제품명: CZY60)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계약금액은 277만 달러(USD, 한화 약 36억 원)이며 계약기간은 2022년 12월 06일부터 2023년 10월 05일까지다. 닝샤 바오펑 에너지 저장 재료 회사(Ningxia Baofeng Energy Storage Materials Co, 이하 최종수요처)가 최종 수요처다. 쎄노텍 관계자는 “금번 계약 최종수요처는 연간 매출 약 30..
-
TUV SUD(티유브이 슈드), ‘ISO 19443 기반 원전 수출 기술 세미나’ 개최
TUV SUD(티유브이 슈드)는 지난 5일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와 공동으로 경주 힐튼호텔에서 국내 원자력 산업 관계자들에게 한국 원전산업계의 성공적인 유럽시장 진출 전략을 소개하는 ‘ISO 19443 기반 원전 수출 기술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최근 폴란드와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원전 수주가 유력시 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원전산업계의 성공적인 유럽 및 중동시장 진출에 필요한 제반 요건을 소개하였다. 특히 원전산업 동향 소개와 함께 원자력 품질 관리 표준인 ‘ISO 1..
-
SES, 제2회 ‘배터리 월드’ 온라인 행사 개최
전기자동차(EV)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용 고성능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 및 제조 분야 글로벌 선두기업 SES AI Corporation(SES)이 작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SES 배터리 월드’를 개최한다. 올해 행사는 미국, 한국, 중국 3개국에서 순차적으로 개최되며, 한국 행사는 오는 14일 오전 10시부터 SES 유튜브 공식 계정을 통해 생중계된다. SES배터리 월드 2022는 ‘차세대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주제로 진행된다. SES는 전 세계 참가자들과 글로벌 배..
-
디에이테크놀로지, 터키 템사와 전기버스 배터리 관련 전략적 제휴 체결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 대표 이종욱)는 템사(TEMSA)와 전기버스 및 상용차용 배터리 개발 및 제조에 관한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템사는 터키 굴지의 버스 제조업체이자 세계 주요 버스 제조사 중 하나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디에이테크놀로지는 템사에 5년간 2차전지 제조 자동화 라인을 우선 공급하는 방안에 대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전 세계적인 2차전지 산업의 호황을 바탕으로 2차전지 제조 장비 글로벌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 국내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에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