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로팬

산업 경제 테크 게임
사회 생활 자동차 미디어

라디오 혁신 지원 위한 전담 진흥기구 설치 필요하다

  • 2021-12-29 18:46
  • ACROFAN=Newswire
  • newswire@acrofan.com
미디어 다양성 증진과 음성음향(Aural-Oral)서비스의 확장, 진화를 위해 라디오 혁신 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진흥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주당 정필모 의원실과 한국언론정보학회(회장 안차수 경남대 교수)는 29일 '라디오 지속가능성과 미래 혁신 성장을 위한 정책 방안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고, 라디오 정책 문제를 진단하고 향후 라디오 진흥을 위한 방향을 모색했다.

세미나를 주최한 정필모 의원은 "라디오 시대가 끝났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지만, 라디오는 여전히 나와 우리를 연결하는 소통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불합리한 규제를 정비한다면 라디오의 새로운 활로 개척은 가능할 것"이며, "오늘의 논의가 국회 입법 과정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서면 축사를 통해 "지상파 라디오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청취자와 친근하게 소통할 수 있으며, 특히 재난매체로서도 위상을 강화해나가고 있다"며 "라디오의 공익성 제고 및 라디오 산업의 혁신기반 조성을 위해 방통위도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앞으로도 정부도 함께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방송협회 박성제 회장은 축사를 통해 "라디오 매체력 저하는 과도한 규제와 지원 부재가 그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라디오는 향후 커넥티드카FM, 스마트폰 라디오 통합플랫폼 등 혁신서비스의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정부의 지속적인 진흥/지원이 함께한다면 라디오의 미래는 희망적"이라고 말하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발제를 맡은 한양대 정준희 겸임교수는 "미디어는 생애주기를 갖는다는 것, 뉴미디어가 올드 미디어보다 우월하다는 것은 신화에 불과하다"며, “한국에서 라디오는 '계획적으로 고사된 것’으로, 한국의 방송정책은 지나치게 신규미디어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어 라디오가 주변부 서비스로 취급되었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영국과 한국의 라디오 이용 및 정책에 대한 사례를 비교했다. 정 교수는 “영국은 한국에 비해 라디오 도달률, 이용률이 높고, 이용 장소와 이용 수단도 다양하며, 특정 음악 장르에 특화된 채널 등이 인기를 모으고 있는 등 라디오 산업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영국은 채널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공-상업 부문을 균형적으로 배치하며, 장르와 매체의 차별화 전략을 펼쳤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영국 정부는 라디오를 배제하지 않는 정책과 법제를 통해 라디오 진흥을 지원해왔으며, 1990년대 중반부터 디지털 방송 정책에 라디오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 라디오 혁신, 라디오 홍보와 개선을 유도하는 법과 기구를 설치해왔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우리나라의 라디오 이용이 위축되었더라도 잠재적 수요는 사라지지 않고, 스마트폰을 통한 라디오 수신이나 커넥티드 카 등 서비스 활성화 촉진 방향이 살아있다"며 “음성음향 서비스 진흥을 위한 정책 기구 설립과 설립 근거, 기능을 부여하는 법적 체계 개편이 필요하며, 라디오 이용 행태 데이터를 구축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김동준 소장(공공미디어 연구소)은 라디오 콘텐츠 진흥 기금인 영국 비영리단체 ACF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유형의 기금이 국내에도 설치되어 라디오 진흥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박재홍 앵커(CBS)는 “라디오가 공감의 매체이자 재난 방송이라는 공적 책무를 수행하는 매체로서 의미를 지닌 만큼, 스마트폰의 기본 수신 기능 활성화를 통해 라디오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영섭 교수(경희사이버대)는 라디오가 매체 신뢰도 1위를 차지하는 독일의 사례를 언급하며, “국내 역시 신문보다 라디오 이용률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며 진흥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안정상 수석전문위원(더불어민주당)은 “방송법에서조차 라디오 방송은 극히 소외되어왔다”며 “TV와 뉴미디어 중심으로만 집중되고 있는 정책환경에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상훈 부장(한국방송협회)은 “라디오는 음성 매체로서 TV와는 매체적 특성이 매우 다르므로 TV와 통합되어있는 규제를 분리 적용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가상 간접광고가 불가한 라디오에게 맞는 라이브리드의 도입 등 과감한 규제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